부동산 시장의 미묘한 변화에 대해 알아보기
부동산 시장에서 수요는 현재 부족한 상황이다. 1월 거래량이 증가했지만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2,000건 수준에 그친다.
수요와 공급에 따라 시장 가격이 결정되는데, 수요가 급격히 줄어들면 가격은 하락한다. 이로 인해 공급도 줄어들어 부작용이 커지고 있다.
수요는 서서히 아니면 어떠한 계기로 인해서 급격히 상승할 수 있는 것이지만 공급은 단기간에 해결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민간 아파트 분양가가 계속 상승하고 있다. 이는 인플레이션의 영향이 커서 건설업계에 피해를 주고 있다. 땅값은 한 번도 하락한 적이 없으며, 인건비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건설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시장에서 수요가 저조하여 민간 건설사들은 공급을 늘리기 어렵다.
건설사들이 수주 목표를 대폭 낮춘 것은 건설 활동을 줄이겠다는 의미이다. 이로 인해 올해부터 몇 년 동안은 공급 부족에 시달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사업성이 비교적 좋다는 재개발 사업지에서도 이렇게 유찰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지요.
중소 건설사들은 사업을 포기하는 업체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난해 주택 건설업 등록업체 수가 10년 만에 감소하였다.
민간 건설사를 통해 공급되는 주택은 이미 경고등이 들어온 상황이다.
공공의 실적이 좋은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실제로는 착공 실적은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으며, 2023년은 2022년의 절반밖에 되지 않는다. 2020년에 비하면 5분의 1도 안 되는 실적이다.
이러한 부작용은 벌써부터 부동산 시장에 나타나고 있다.
입주 물량은 무엇보다 전세 가격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데 이렇게 입주 물량이 없는 곳에서의 전세 가격은 큰 폭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입니다.
서울시의 전세 가격은 이렇게 고공행진을 벌이고 있는 상황인 것이죠.
학군을 중심으로 전세 가격이 급등하고 있습니다. 공급 부족으로 전세 가격 상승이 가속화되고, 이는 결국 매매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다. 따라서, 수요 진작 카드를 낸 1.10 대책으로도 시장 반응은 냉담하며, 추가적인 수요 진작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총선 이후 상황 변화에 따라 주택 가격도 크게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계속해서 이러한 상황이 지속된다면 주택 가격 상승이 불가피한 것으로 보인다.